서비스 기획자 기록집zip.

[솜씨당]아 하입보이 추고싶은데, 어디서 배우지? 싶을 때 찾은 앱 본문

자기개발/기획 - 서비스 분석

[솜씨당]아 하입보이 추고싶은데, 어디서 배우지? 싶을 때 찾은 앱

쩐니 2023. 1. 13. 22:51

 

Product Development Life Cycle(제품생애주기)가 무엇인지 잘 몰라서 찾아보았어요

아래 링크에 잘 적혀있으니 참고하면 좋을듯!

https://m.blog.naver.com/thomasj00/222035237218

 

최근 내가 가장 좋아하는 프로덕트를 선정해야하는데, 폰에 설치된 앱만 205개 ^^

실화인가? 이 글을 쓰려고 확인해 보았는데 네.그렇네요ㅎ

 

 


수 많은 앱 중에 실제로 돈 지불과 연관되는 앱을 1차로 추출했다

솜씨당, 카카오톡, 네이버지도, 쿠팡, 인스타그램, 금융앱들, OTT앱들, 여신티켓, 스카이스케너, 숨고, 코레일, 영화관 앱, 센디, 기프티스타, 지그재그, 브랜디 등이 될 듯 

생각보다 앱 사용하면서 돈 많이 쓰고 있엇네^^* 나열해보니 당황스러움 

 

여튼 이렇게 많은 앱들 중에서 솜씨당을 뽑아 보았다!

왜냐면 하입보이가 대세니까!^^ (무맥락)

 

 

 

 

 

 

 

 

 

 

솜씨당(app)

- o2o플랫폼

 

 

 

'솜씨당컴퍼니'의 온/오프라인 취미 여가 플랫폼으로 2019년에 시작됐다. 최근에는 40억 원 규모의 시리즈A투자 유치 성공하였으며, 22년 1월 기준 누적 앱 다운 100만건, 클래스 2만5천개, 활동작가 1만 2천명을 확보했다.  

 

 

 

 

 

 

 

**

BM

1. 오프라인 원데이클래스 중개 수수료

2. DIY키트 상품 판매액, 중개 수수료

3. 핸드메이드 상품 판매액, 중개 수수료 

 

1. 올바른 기회 찾기 및 계획   회사가 발견한 가장 큰 기회는 무엇이었나요?

 

 

- 첫 번째 취미 O2O 플랫폼이 되다.

이미 현실 세계에서 돈이 되는 가치사슬이 있다면, 온라인에서도 성공한다고 선생님이 말씀해 주셨다. 비즈니스 모델을 짜기에 가장 쉬운 방법이라고 하셨음. 취미와 여가 생활을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연결한 것이 솜씨당에게 가장 큰 기회가 되지 않았나 싶다. 이미 취미 시장의 규모는 현재 목공예 시장만 놓고 보면 연간 1조원 시장에 달하고 전체 취미 시장은 이보다 더 크지만 이렇다할 대책은 없었다. 블로그와 SNS에 원데이 클래스 정보가 흩어져 있었고, 클래스 예약 과정도 복잡했다. 즉 취미 플랫폼 시장엔 에어비앤비나 야놀자와 같은 서비스가 없었던 것. 

 

 

"솜씨당이 국내 최대 규모의 오프라인 클래스를 확보하고 있었던 덕분에 빠르게 온라인으로 서비스 전환할 수 있었다"

"기존 오프라인 역량에 온라인 경쟁력을 더해 코로나 19라는 위기를 기회로 만들었다."

- 유희주 솜씨당컴퍼니 사업부 책임리더

 

 

2. 솔루션 디자인   회사는 어떻게 문제를 정의했고,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있나요?

 

"온라인 클래스 경쟁이 치열하던 시기였다.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으로 전환해야 하나 고민이 컸으나, 오프라인에 집중했다"

 

- 오프라인 콘텐츠에 집중

: 온라인을 통해 즐길 수 없는 베이킹, 수공예, 미술 등으로 수업 구성

: 작가의 80%이상이 공방 직접 운영하는 전문가로 높은 퀄리티 수업 제공

 

- 실시간 소통 라이브 클래스

: 줌으로 실시간 피드백 및 재료 키트 배송

 

- 프라이빗 클래스

: 타인이 아닌 동행인만 함께 수업 참석 가능하도록 커플이나 1대1로 배우는 오프라인 클래스 확대

(이것도 코로나에 더 잘 될 수 있던 이유 중 하나가 아닐까)

 

- 다채널관리 시스템 구축하여 작가들의 매출을 높임

: 네이버쇼핑, 예약, 플레이스, 쿠팡 등 7개 채널 등록 및 관리 가능

 

- B2B 사업

: 국내외 대기업 170개사, 34,300명 대상으로 언택트 워크샵, 온/오프라인 클래스 진행

: 40여 종의 자체 취미 콘텐츠 개발 

 

**기업의 직원 복지(B2B)

코로나 19사태 초기인 2020년 3월 처음 선보인 라이브클래스는 현재까지 300개 기업에서 3만 5천명의 임직원이 참여했다.

클래스를 제공하여 위드코로나 시대에 새로운 기업 복지가 된 것. 이로 인해 솜씨키트 판매량은 2020년 대비 280%, 솜씨당컴퍼니의 거래액은 전년 대비 306% 성장하는 성과를 거뒀다. 

 

 

3. 솔루션 공유(마케팅)   회사는 만들어진 제품을 고객들과 시장에 어떻게 알리고 있나요?

 

1) 친구초대 이벤트 

사실 이런 이벤트가 있는 줄도 모르고 친구들한테 솜씨당 추천하고 다녔는데

이런 이벤트가 있었다 나도 벌써 3명 초대해서 깊티 한번 받음.

-> 자연스럽게 지인추천 느낌으로 입소문

 CLTT998로 가입해 주세요 ^^💛

 

 

 

2)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하며 유저 유입

- CJ제휴, CJ앱에서 쿠폰을 받아 솜씨당에서 사용함

- 뷰티플레이(국내 중소 화장품 기업 오픈형 공간) 뷰티클래스 수업 신청을 솜씨당에서 받음

- 스타필드 고양 클래스콕 오픈

- 아쿠아필드 체험 공간

- 쿠팡 라이브 클래스 운영

 

3) 솜씨당에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트랜드 정보를 공개하며 취미 플랫폼 입지를 다짐

 

 

4. 솔루션 평가   회사는 솔루션에 대해 어떻게 성공/실패를 판단하고 개선해 나가고 있나요?

 

네이버 한달 동안 올라오는 공예 관련 포스팅 수 및 작가 한명이 모으는 수강생 수 기준으로 취미 시장을 분석함.

 

- 수강생 뿐만 아닌 작가, MD, 내부운영자 모두 고객이라고 생각하며 업무 처리

 

- 시간 비용이 적게 드는지, 많이 드는지 파악하여 우선순위 결정하여  빠르게 업무 처리

 

- 사용자 피드백 수집

: 앱스토어, 채널톡 문의 등을 통해  VOC 수집

: 작가님들과는 담당자와 직접 소통하는 운영팀을 통해 피드백을 전달받고, 직접 인터뷰 진행

 

- 서비스 개선 과정에 가장 중요하게 보는 지표

: 기본적으로 *DAU와 이벤트 전환율,

DAU 중요하게 보는 이유는 매출과 가장 직결 되는 지표이기 때문, 이벤트 전환율은 서비스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우선순위 부여하는 근거로 사용됨.

 

*잠깐! 용어 공부

#DAU (daily active user)

#WAU (weekly active user)

#MAU (monthly active user)

 

 

 

 

 

 


 

 

평가 4.8에 빛나는 솜씨당, 좋은 경험을 주는 수업이 많아서 더 그런듯

퀄리티 높은 수업들이 계속해서 운영되는 것이 가장 핵심일 듯.

-> 그래서 작가들의 편의를 위한 통합관리 서비스도 개발하나보다!

 

 

 

+ 나도 솜씨당을 3번이상 사용해본 사람으로써^_^ 

한가지 말을 덧붙이자면,

결국 중간 수수료가 있기 때문에 작가님들은 다른 결제 수단을 메시지로 안내하시기도 한다.

조금 더 할인 된 가격으로...!!! 이 부분도 미리 잘 대처해서 해결해줘야 할듯!

 

그리고 수업 자체는 ㄴ ㅓ무 나도 재미있다 ㅠ

친구와 함께 일정을 편하게 조율하고 참여하는 과정이 넘 잼남 ㅠ

평소 해보고 싶엇던 하입보이 배우기도 시간가는 줄 모르고 배웠담. 

홍대 어떻게 가요? 하입보이요~ ~~

여튼 참여했던 모든 수업 선생님들이 다 실력이 좋으셨고 난 또 솜씨당 통해서 수업을 들을 예정이다. ^^

끄읏-! 

 

참고자료

https://www.venturesquare.net/846695

https://www.etnews.com/20210422000265

https://mixpanel.com/ko/blog/aarrr-pirate-metrics/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211135081i

https://maily.so/tipster/posts/7fd6b266

 

 

**** 다음에 분석할 때 사용해 보고 싶은 것. 

AARRR은 기업이 사업의 성장을 평가하기 위해 추적해야 할 5가지 사용자 행동 메트릭의 이니셜을 딴 약자

  • Acquisition (획득) – 사람들이 우리 브랜드 또는 제품을 어떻게 발견하나요?
  • Activation (활성화) – 고객은 우리가 원하는 행동을 취하고 있나요?
  • Retention (유지) – 활성 사용자가 계속해서 제품에 참여하고 있나요?
  • Referral (추천) – 사용자가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만큼 제품을 마음에 들어 하나요?
  • Revenue (수익) – 사용자가 해당 제품에 기꺼이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나요?
Comments